본문 바로가기

여행이야기/서울,경기권

정몽주 선생의 묘

1.포은 정몽주 선생의 묘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번 고쳐 죽어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님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학창시절 지독시리 엂었던 단심가...


경기 용인 처인구 모현면, 이곳은 고려말의 충신이며 동박 이학의 시조로 추앙되던 포은 정몽주(1337~1392) 선생의 묘소이다.

묘지 관리가 깔끔하게 잘 되었다.

 

선생의 자는 달가, 호는 포은, 시호는 문충이며 본관은 연일로 정관의 아들이다. 공민왕 9(1360) 과거에 장원급제 후 예문관검열, 예부정랑, 대사성, 문하찬성 등 여러 벼슬에 올랐다.

5부학당을 세워 후진을 양성했으며, 향교를 세워 유학을 진흥하고 우리나라 성리학의 기초를 세웠으며, 한편으로는 일본에 가서 왜구를 금지할 것을 교섭하는 등 외교활동도 하였다. 이성계의 세력이 날로 커져 정도전 등이 그를 왕으로 추대하려 하자 끝까지 고려왕실을 지키려 하다가 선죽교에서 피살되었다.


경북 영천에서 태어나 개성 선죽교에서 이방원의 손에 살해 당한 정몽주 선생의 묘가 왜 용인에 자리를 잡은 것일까. 생전 포은 선생과 용인과의 인연은 문헌상에 전혀 나오지 않는다. 그다지 연관 없는 곳에 묏자리가 있는 것이다.


그 연유엔 이런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방원은 조선의 세 번째 왕인 태종으로 즉위 후 6년 뒤인 1406, 자신이 죽인 정몽주 선생을 복권시키면서 문충(文忠)이란 시호를 내리고 개성 풍덕에 가묘 형태로 모셨던 선생의 유해를 그의 고향인 경북 영천으로 이장토록 했다. 후손과 많은 유림의 선비들이 뒤따르는 가운데 상여가 고향 영천으로 가는 도중 지금의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동 부근을 지날 때였다


상여 행렬의 맨 앞에 선 명정(銘旌죽은 사람의 관직 등을 적은 천)이 갑자기 불어온 회오리바람에 의해서 날아가기 시작했다. 명정을 잡기 위해 후손들이 따라가 보니 지금의 모현면 능원리 문수산 기슭에 떨어졌다.


명정이 떨어진 곳을 이상하게 여긴 후손들이 지관을 불러 물어보니 이 자리가 보기 드문 명당이라고 하는 것이었다. 후손들은 하늘이 충신을 알아보고 자리를 잡아 주었다고 감탄하면서 경북 영천까지 갈 필요 없이 이곳에다 묘를 쓰기로 했다.


백로가는 포은 선생의 어머니가 지은 시로 아들에 뒤지지 않는 절개가 느껴진다.

이제 정몽주 선생의 '묘'에대해 알았다면, 그를 추모하기위하여 창건한 경북 영천에 있는 '임고서원'을 함께 알아야 한다.


'여행이야기 > 서울,경기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향기 수목원  (0) 2017.11.03
와우정사  (0) 2015.05.27
수원화성행궁  (0) 2014.11.20